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경남_HOTcilp데스크(TV)

올해만 벌써 13명..노동자 빼고 안전 대책?

◀ 앵 커 ▶
최근 경남과 부산지역 조선소에서
사고가 잇따르면서, 올해 들어 조선소에서
13명의 노동자가 숨졌습니다.

정부가 중대재해 예방대책을 논의하겠다며
최근 부산에서 긴급 간담회를 열었는데,
중대재해 당사자인 노동자는 빼고
조선소 사업주만 불러 모았습니다.

이승엽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 13일, 사하구의 한 조선소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

밀폐된 공간에서 가스절단기 작업 중 발생한
폭발로, 30대 외국인과 40대 한국인 노동자
2명이 숨졌습니다.

앞서 지난 9일 경남의 한 조선소에서는
노동자 2명이 선박 구조물에 깔려 숨지는 등

투명CG------
전국적으로 조선업 현장에서 숨진
노동자는 올해에만 13명에 달합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조선소에서 사망한 노동자가
모두 9명인데,

반년도 채 지나지 않아, 이 수치를
훌쩍 넘은 겁니다.

게다가 이 중 무려 12명이 부산과 울산,
경남 지역 조선소에서 발생했습니다.
-------------

◀ INT ▶ <왕찬민 부산지방고용노동청 근로감독관>
\"조선업 업황은 개선됐지만 외국인 근로자라든지, 미숙련 근로자 비율이 조금 늘지 않았나 보고 있고, 협력업체 안전관리 시스템도 전반적으로 미흡한 상황입니다\"

숨진 노동자들은 모두 하청업체 소속.

조선업 특성상 중장비나 무거운 자재가 많아
한번 사고가 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데,

낮은 임금으로 숙련공들은 현장을 떠났고
최근 다시 조선업 수주가 활발해지면서,

그 자리를 숙련되지 않은 하청업체 소속
노동자들이 채우는 구조입니다.

제대로 된 안전교육을 받기도,
힘든 구조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 st-up ▶
\"정부는 조선업 중대재해를 막겠다며
부랴부랴 부산을 가장 먼저 찾아
긴급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간담회의 대상은
중소 조선사 사업주로 한정됐습니다.

간담회 목적이 사업주의 안전대책 강화를
당부하는 것이었다고는 하지만,

중대재해의 당사자인 노동자가
대책 마련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소외됐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 SYNC ▶ <이숙견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상임활동가>
\"노동계는 배제하거나 반영하지 않고 그냥 선주하고만 하는 방식은(한계가 있고)..노동조합하고도 함께 논의를 해야지 방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노동계는 관련법상 건설업에 적용되는
재하도급의 원칙적 금지를 조선업에도 도입하고

안전 관리활동에 하청 노동자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줄곧 요구하고 있지만,
여전히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승엽입니다.

◀ END ▶
웹마스터

최근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