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경남_HOTcilp데스크(TV)

빨라지는 '식품 사막']"장 보려면 반나절..못 사

◀ 앵 커 ▶
농어촌 마을에 가면 요즘 구멍가게도 사라져
물건을 사기 힘든 경우가 많죠.

이처럼 우리나라도 노령화와 지역 소멸로
식료품 소매점이 없는 '식품 사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부정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함안군 여항면에 살고 있는 공감녀 할머니가
마트를 가려고 버스를 기다립니다.

1시간 30분에 1대인 버스를 타면
읍내 마트까지 가는 데만 30여 분,

물건을 사고 다시 집에 돌아오면
반나절이 그냥 지나갑니다.

공 할머니에게 필요한 물건은 3kg 설탕 3봉지.

◀ INT ▶공감녀 할머니/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설탕 사러 그거 사고 와서 이제 뭐 담으려고 그거 사러 일부러 내려가요 (설탕하나 사러 지금 가시는 겁니까?) 네..지금(11시) 내려가면 3시 차 타고 올라와야 해요\"

공 할머니가 사는 마을은
고령화에 인구도 줄면서
점포 2곳은 문을 닫았습니다.

주민 대부분이 70~80대 노인들로
운전은 고사하고 온라인 주문은 꿈도 못 꿉니다.

이 때문에 우유 같은 신선식품을 사는 건
사실상 포기했습니다.

◀ INT ▶황말자 할머니/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우리가 (마트를) 가지는 못해요 들고 오지도 못하고 사봐야.. 차 타고 돌아와야지 (짐을)
실어야하지 내려야하지 누가 합니까?..힘이 없는데 그러니까 그냥 채소 뜯어 먹고 사는거죠\"

◀ st-up ▶
\"이 마을회관에서 가장 가까운 소매점까지 차를 타고 이동해 보겠습니다\"

2.2km, 차로는 4분 정도 걸리지만
운전을 할 수 없는 어르신들은
걸어서만 1시간 거립니다.

이마저도 펜션에서 운영하는 소매점이라
필요한 식자재를 찾기 쉽지 않습니다.

인구가 줄고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농어촌에서 식품 소매점이 사라지는
이른바 '식품 사막화'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CG]
\"경남 읍*면내 행정리 3천 2백여 개 중
음*식료품 위주 소매점이 있는 곳은
1천 2백여 개로 3곳 중 2곳은 없습니다.

특히 인구가 가장 적은 의령군의 경우
읍면내에 있는 147개 행정리 중
80% 넘는 마을에 소매점이 없습니다.

◀ INT ▶남기순 할머니/의령군 정곡면 상촌리
\"아들이 우유 안 사다 주면 우유도 한 개 구경을 못 해요..요구르트고 뭣이고 그러니까 이게 사는 건가?\"

이처럼 식품 사막화가 가속화하면서
귀농*귀촌을 포기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 INT ▶황말숙 할머니/함안군 여항면 내곡리
\"마트가 여기는 하나도 없어..(귀농*귀촌해서) 지금 들어와서 사는 사람은 불편한 걸 느끼겠지\"

'식품 사막'은 1990년대
영국의 공공주택 지역 주민들이
신선식품을 쉽게 구하지 못하는 현상을
설명하며 처음 사용됐는데, 미국과 일본에선
이미 사회 문제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INT ▶이은희 인하대학교/소비자학과 명예교수
\"산간지역이나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해서 식품 사막화 현상이 점점 더 가중될 것으로 생각을 하고..생활의 기본권이 충족되지 않고 있는 그러한 상태를 맞이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역 소멸과 노령화로 농촌지역 노인들이
식품 구입 사각지대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mbc news 부정석입니다.◀ END ▶
부정석
도교육청, 환경, 진해경찰서

최근뉴스